2025년도 동계종합학술발표회 초대의 말씀
한국통신학회 회원 여러분께,
2025년 을사년 새해를 맞아 한국통신학회는 용평리조트에서 동계종합학술발표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학술발표회는 'Shaping the 6G Era with AI-RAN'이라는 슬로건 아래, 회원 여러분께 유익한 학술 정보와 폭넓은 연구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다채롭고 심도 있는 학술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발표회에서는 소프트뱅크의 Alex Jinsung Choi 박사님과 Working Group 1/2/3 Chair가 참여하는 AI-RAN Alliance 특별 세션이 마련되어 있으며, 해외 인더스트리 세션에서는 통신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의 전문가들이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Apple의 채혁진 박사님, Meta의 윤상기 박사님, Qualcomm의 유태상 박사님, Google의 황인수 박사님이 발표자로 참여하여 흥미롭고 유익한 시간을 제공할 것입니다.
AI-RAN 주제를 중심으로 산학연관 전문가들을 초청하여O-RAN 기술 현황과 전략 패널 토론을 진행합니다. 또한, 튜토리얼 세션에서는 서울대학교 양현종 교수님이 RAN Intelligent Controller (RIC)를 주제로, DGIST 곽정호 교수님이 오픈랜 기반 AI-Native 네트워크를 위한 다자원 최적화를 주제로, Ericsson 본사의 정민근 박사님이 Wireless Prototype에 대해 강연하실 예정입니다.
세계 석학 프로그램에서는 TU Dresden의 Frank Fitzek 교수님이 6G Communication: Unlocking the Future of Networked Robotics를 주제로, NEU의 Tomasso Melodia 교수님이 Open 6G: Orchestration, Autom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Explainability in nextG Wireless Systems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합니다. 이와 더불어 TTA 손승현 회장님의 기조 강연, 국방 MoU 체결식 및 국방 특별 세션, 6G 포럼, 신진 연구자 특별 세션, Junior Faculty Social Gathering 세션, 스타트업 세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기획되어 있어 참가자 여러분께 풍성한 학술적 경험을 선사할 것입니다.
특히, 이번 학술발표회에서는 해동우수논문상 시상을 통해 제출된 논문 중 우수한 연구를 선정하여 연구자들의 학문적 성취를 격려하고,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아이디어 경진대회도 함께 열립니다. 이번 아이디어 경진대회는 생성형 AI와 양자 컴퓨팅을 주제로, 학부생뿐만 아니라 대학원생까지 참여 범위를 확대하여,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통신 연구를 시작하는 학생들과 젊은 연구자들에게도 뜻깊고 유익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이번 2025년도 동계종합학술발표회가 국내외 많은 ICT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다양한 주제에 대해 논의하고 토론하며 협력할 수 있는 열띤 교류의 장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한국통신학회 모든 회원 여러분께서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끝으로, 이번 행사를 성공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아끼지 않으신 조직위원회와 학회 사무국의 관계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회원 여러분 모두에게 이번 학술발표회가 유익한 시간이 되기를 바라며, 많은 교류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자리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2월
한국통신학회 회원 여러분께,
2025년 을사년 새해를 맞아 한국통신학회는 용평리조트에서 동계종합학술발표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학술발표회는 'Shaping the 6G Era with AI-RAN'이라는 슬로건 아래, 회원 여러분께 유익한 학술 정보와 폭넓은 연구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다채롭고 심도 있는 학술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특히, 이번 발표회에서는 소프트뱅크의 Alex Jinsung Choi 박사님과 Working Group 1/2/3 Chair가 참여하는 AI-RAN Alliance 특별 세션이 마련되어 있으며, 해외 인더스트리 세션에서는 통신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의 전문가들이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Apple의 채혁진 박사님, Meta의 윤상기 박사님, Qualcomm의 유태상 박사님, Google의 황인수 박사님이 발표자로 참여하여 흥미롭고 유익한 시간을 제공할 것입니다.
AI-RAN 주제를 중심으로 산학연관 전문가들을 초청하여O-RAN 기술 현황과 전략 패널 토론을 진행합니다. 또한, 튜토리얼 세션에서는 서울대학교 양현종 교수님이 RAN Intelligent Controller (RIC)를 주제로, DGIST 곽정호 교수님이 오픈랜 기반 AI-Native 네트워크를 위한 다자원 최적화를 주제로, Ericsson 본사의 정민근 박사님이 Wireless Prototype에 대해 강연하실 예정입니다.
세계 석학 프로그램에서는 TU Dresden의 Frank Fitzek 교수님이 6G Communication: Unlocking the Future of Networked Robotics를 주제로, NEU의 Tomasso Melodia 교수님이 Open 6G: Orchestration, Autom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Explainability in nextG Wireless Systems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합니다. 이와 더불어 TTA 손승현 회장님의 기조 강연, 국방 MoU 체결식 및 국방 특별 세션, 6G 포럼, 신진 연구자 특별 세션, Junior Faculty Social Gathering 세션, 스타트업 세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기획되어 있어 참가자 여러분께 풍성한 학술적 경험을 선사할 것입니다.
특히, 이번 학술발표회에서는 해동우수논문상 시상을 통해 제출된 논문 중 우수한 연구를 선정하여 연구자들의 학문적 성취를 격려하고,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아이디어 경진대회도 함께 열립니다. 이번 아이디어 경진대회는 생성형 AI와 양자 컴퓨팅을 주제로, 학부생뿐만 아니라 대학원생까지 참여 범위를 확대하여,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통신 연구를 시작하는 학생들과 젊은 연구자들에게도 뜻깊고 유익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이번 2025년도 동계종합학술발표회가 국내외 많은 ICT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다양한 주제에 대해 논의하고 토론하며 협력할 수 있는 열띤 교류의 장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한국통신학회 모든 회원 여러분께서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끝으로, 이번 행사를 성공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아끼지 않으신 조직위원회와 학회 사무국의 관계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회원 여러분 모두에게 이번 학술발표회가 유익한 시간이 되기를 바라며, 많은 교류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자리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2월

2024년도
추계종합학술발표회 우수논문상
2024년도
추계종합학술발표회 학부논문상
준비 중입니다.
학술발표회 대회장 | 허준(한국통신학회 회장, 고려대학교 교수) | |
위원장 | 고영채(한국통신학회 부회장, 고려대학교 교수) | |
부위원장 | 최지웅(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교수) | 채찬병(연세대학교 교수) |
박현희(명지대학교 교수) | ||
위원 | 신원용(연세대학교 교수) | 곽정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교수) |
전태수(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교수) | 서대원(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교수) | |
최진석(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고갑석(강원대학교 교수) | |
이제민(연세대학교 교수) | 양현종(서울대학교 교수) | |
박정훈(연세대학교 교수) | 임병주(부경대학교 교수) | |
정혜원(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최창식(홍익대학교 교수) | |
정민채(세종대학교 교수) | 이정훈(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고한얼(경희대학교 교수) | 서효운(광운대학교 교수) | |
정소이(아주대학교 교수) | 최민석(경희대학교 교수) | |
학부논문 | 박대영(인하대학교 교수) | 김영식(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교수) |
고승우(인하대학교 교수) | 정해준(경희대학교 교수) | |
방인규(국립한밭대학교 교수) | 채승호(한국공학대학교 교수) | |
김태훈(국립한밭대학교 교수) | 이용우(인하대학교 교수) |
위원 | 강승택(인천대학교 교수) | 고영채(고려대학교 교수) |
김경배(서원대학교 교수) | 김선우(한양대학교 교수) | |
김영희(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센터장) | 김재현(아주대학교 교수) | |
김준수(한국공학대학교 교수) | 김중헌(고려대학교 교수) | |
남해운(한양대학교 교수) | 박민호(숭실대학교 교수) | |
백상헌(고려대학교 교수) | 손일권(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선임연구원) | |
신수용(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교수) | 신원용(연세대학교 교수) | |
심춘보(국립순천대학교 교수) | 윤수연(국민대학교 교수) | |
이경재(국립한밭대학교 교수) | 이인규(고려대학교 교수) | |
이일우(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본부장) | 이재민(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교수) | |
김동성(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교수) | 장경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특훈교수) | |
장경희(인하대학교/6G포럼 교수/집행위원장) | 전요셉(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
정진곤(중앙대학교 교수) | 정해준(경희대학교 교수) | |
조부승(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센터장) | 조성래(중앙대학교 교수) | |
채찬병(연세대학교 교수) | 표성민(국립한밭대학교 교수) | |
한동석(경북대학교 교수) | 한준(카이스트 교수) | |
허준(고려대학교 교수) |